IT/바이오

“누리호 첫 새벽 비행”…한화, 민간 주도 발사체 전환 신호탄

조수빈 기자
입력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출범 2년 반 만에 완전히 새로운 국면을 맞는다. 오는 27일 새벽 1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진행되는 4차 발사는 누리호 최초의 야간 비행이자, 국가 주도 발사체 개발의 주도권이 본격적으로 민간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이관되는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발사가 국내 우주 기술 상용화와 민간 산업 구조 전환의 분기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누리호의 새벽 발사는 국내 최초로 야간 환경에서 추진되는 독특한 도전이다. 이번 발사는 기존과 달리 조명, 온도, 운용 인력의 피로 등 다양한 변수와 리스크 관리에 초점을 맞췄다. 차세대중형위성3호가 임무 요구조건에 맞게 적도를 통과하는 궤도에 진입하기 위해 발사 시각을 새벽 1시로 조정했다. 이를 대비해 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사전 야간 리허설을 이미 마쳤으며, 발사체 준비와 현장 운용 전반에 걸쳐 운용 과정의 휴먼 에러를 줄이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

이번 4차 발사는 정부와 연구기관, 민간이 유기적으로 역할을 분담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우주항공청이 관리·허가를, 항우연은 발사운용을 주관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최초로 발사체의 제작·총조립 및 발사 운용에 전면적으로 참여한다. 전체 탑재 질량 960kg으로 고도 600km 태양동기궤도를 목표로 하며, 차세대중형위성 3호(516kg)와 12기의 큐브위성(총 79kg) 등 총 13기를 싣는다. 다중 위성 탑재를 위한 어댑터(MPA)와, 기존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상단 영상 카메라, 소음 저감 카울 등 운용 기술이 새로 적용됐다.

 

발사 운용 절차는 기존 프로젝트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야간 발사 특성상 현장 조명 강화, 실시간 영상 기록뿐 아니라 지상풍, 온도, 태양활동 등 환경조건을 한층 엄격하게 점검한다. 발사 8시간 전까지 우주 환경과 기상, 안전 조건이 모두 충족돼야 카운트다운이 개시되며, 최종 승인은 항우연 고도화사업단 박종찬 단장이 맡는다.

 

글로벌 민간 우주 산업에서는 미국 스페이스X 등 기업들이 발사체 개발과 상업 운용을 선도하고 있다. 이번 누리호 발사는 국내에서도 민간 중심 우주 산업 전환이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는 신호라는 평가다. 한화가 발사체 제작·조립에 주도적으로 나선 것은 국내 우주 역량의 산업화, 그리고 투자 및 기술 축적이 한 단계 진전됐음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새벽 발사라는 물리적 도전과 함께, 민간 중심 산업 구조 전환의 교두보라는 측면에 더 주목해야 한다”고 진단한다. 야간 환경이나 다중 위성 분리 등 실전 운용 경험은 향후 상업 위성 발사, 대형 위성 프로젝트 등 다양한 국내외 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계는 한화 등 민간 기업이 중심이 되는 발사체 제작·운용 전환이 실제 시장에 본격 안착할지 주시하고 있다. 앞으로 우주 산업 생태계의 핵심 경쟁력은 기술, 인력, 데이터, 안전 운용 등 총체적 역량과 제도 지원의 균형에 달려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조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누리호#한화에어로스페이스#항공우주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