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인근 해역서 규모 6.2 강진”…환태평양 지진대, 위험 지속
2025년 10월 27일 오전 2시 4분, 인도네시아 티모르섬 인근 해역에서 규모 6.2의 강진이 발생했다. 새벽 시간 해저에서 발생한 지진에 현지 피해가 우려되며, 우리 정부는 해당 정보의 신속 전달 및 상황 파악에 나섰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지진은 인도네시아 쿠팡에서 북북동쪽으로 125km 떨어진 해상(남위 9.10도, 동경 123.95도)에서 발생했으며, 진원의 깊이는 96km로 분석됐다. 인도네시아 해역은 환태평양 지진대(불의 고리)로 분류되는 지역으로, 규모 6.0 이상의 강력한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구간이다. 미국지질조사소(USGS)는 지진 발생 직후 신속하게 분석 결과를 내놓았으며, 우리나라 기상청도 범정부 재난 대응 체계를 가동했다.

지진의 지점은 두 개의 지각판이 만나는 접점에 위치해, 지하로부터 큰 에너지가 방출되는 구조적 특성 상 지진이 반복되고 있다. 이번 진앙은 비교적 깊은 96km 지점에서 발생해, 현지 피해 규모와 추가적인 여진 발생 여부에 대한 면밀한 감시가 이어지고 있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국내 영향은 없으나, 첨단 감지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저 지진 경보는 인도네시아 일대에 신속하게 전달됐다. 다만 현재까지 이 지역에서 구체적인 피해 상황은 집계되지 않고 있으며, 현지 당국과 국제 기상 관련 기관의 정보 공유가 진행 중이다.
인도네시아 인근과 환태평양 지역의 만성적 지진 위험이 재확인된 가운데, 피해 및 여진 가능성에 따라 국제 사회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이번 지진을 계기로 재난 대비 및 조기 경보 체계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강조되고 있다.
정부와 관련 기관은 “현지 상황 변화에 따라 대응을 강화할 방침”이라며, 국내에는 영향이 없다고 전했다. 향후 여진의 위험성과 현지 피해 규모가 밝혀질 경우, 책임 공방 및 재난 대응 체계의 개선 필요성이 논의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