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특검, 김건희 최측근 겨눴다”…이종호 전 대표 압수수색·소환 통보
정치

“특검, 김건희 최측근 겨눴다”…이종호 전 대표 압수수색·소환 통보

이소민 기자
입력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을 둘러싼 특검 수사가 또다시 정치권 격랑을 예고하고 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19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의 자택과 차량을 전격 압수수색하며 다음 주 소환조사까지 예고했다.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 최측근으로 꼽히는 이 전 대표를 타깃으로, 특검 수사가 본격적으로 ‘윗선’ 추적에 나선 것이다.

 

이번 압수수색은 변호사법 위반 혐의에 초점이 맞춰졌다. 특검팀에 따르면, 이 전 대표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1차 주포’이자 김 여사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정필씨로부터 2022년 6월부터 2023년 2월까지 25차례에 걸쳐 총 8천100만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특검팀은 “이종호 전 대표가 이정필씨의 집행유예 선고를 도우려 했다는 정황에 따라, 관련 혐의를 추가로 인지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특검은 21일 오전 10시에 이 전 대표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할 예정이다.

이종호 전 대표의 혐의와 관련해 본인은 “이정필씨로부터 돈을 받은 적이 없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특검팀은 확보한 휴대전화를 중심으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의 실체와 김건희 여사의 연루 여부를 집중적으로 추궁하겠다는 방침이다.

 

특검 수사는 이 전 대표가 주도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의 2차 작전 시기, 그리고 해당 시기에 김건희 여사와 모친 최은순씨 계좌가 시세조종에 동원됐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대법원 역시 이 점을 인정해 이 전 대표의 집행유예를 확정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전 대표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로비 의혹 등 순직해병 특검팀의 수사 대상이기도 하다. 지난 10일 자택 압수수색에서 사용 중이던 휴대전화를 제출한 뒤 새 기기를 마련했으나, 이번에 김건희 특검팀이 그 휴대전화를 추가로 확보했다.

 

정치권에서는 특검의 이번 조치가 단순한 ‘관계자 조사’ 차원을 넘어, 김건희 여사와 그 측근을 정면으로 겨냥했다는 점에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여당 일각에서는 “특검이 의도적으로 대통령실에 부담을 주려 한다”는 반발이 나오는 반면,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에서는 “본질적 수사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맞섰다.

 

한편, 특검팀은 전날 ‘건진법사 청탁 의혹’과 연계해 서울 마포구의 통일유지재단 등 통일교 시설도 압수수색했다. 통일유지재단은 통일교 사업체 자금 통로로, 앞서 통일교 측은 2022년 4~8월 사이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매개로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 명품을 전달하며 교단 현안을 청탁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특검은 관련 압수물 분석을 통해 통일교 자금이 의혹 거래에 활용됐는지도 들여다볼 계획이다.

 

정치자금 수수혐의도 불거졌다. 특검이 최근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을 정치자금법 위반 피의자로 입건한 사실이 확인됐다. 권 의원은 2021~2024년 사이 통일교 측에서 행사 지원 등 명목으로 자금을 수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권 의원은 “통일교 쪽으로부터 그 어떤 자금도 받은 적이 없으며, 특검의 압수수색은 직권남용”이라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권 의원이 2023년 3월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와 관련해 통일교 측과 연계됐다는 정황도 일부 포착됐다. 특검은 권 의원의 국회의원회관, 주거지 등에서 확보한 자료의 분석을 계속하고 있다.

 

정치권은 김 여사 측근 핵심 인물에 대한 특검의 강도 높은 수사가 ‘윗선 겨냥’으로 이어질 경우, 향후 정국이 적지 않은 파장을 겪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검팀은 압수물 분석과 추가 참고인 소환을 이어가며 김 여사 관련 의혹과 정치자금법 위반 건을 추적할 계획이다.

이소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종호#김건희#특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