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지명 철회”…이재명 대통령, 강선우는 임명 강행 수순
고위공직 인사 문제를 둘러싸고 청와대와 국회 간 긴장감이 고조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이진숙의 지명을 철회하기로 공식 결정하면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임명 수순에 들어가게 됐다. 이날 대통령실의 설명이 나오자 정치권에서는 곧바로 인사 방침을 둘러싼 논쟁이 재점화됐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대통령께서는 그동안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며 고심에 고심을 거듭했다”며 “국회는 인사권자인 대통령의 뜻을 존중해 조속히 후속 조치를 진행해달라”고 밝혔다. 이진숙 후보자를 둘러싼 각계의 찬반 논란과 국회의 부정적인 여론을 종합적으로 감안한 결단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임명 여부에 대한 질문도 이어졌다. 우상호 수석은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하는 것으로 보면 되냐"는 기자들의 질의에 "그렇다"고 밝히며 대통령실 차원의 명확한 입장을 내놨다. 그는 “아직 임명되지 않은 11명의 후보자 가운데 이진숙 후보자에 대해서만 지명을 철회한 것”이라며, 나머지 후보자들에 대한 별도 지명 철회는 없음을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는 이진숙 후보자 철회를 대통령의 고심 끝 양보로 해석하면서도, 강선우 후보자 임명 강행에는 여야 대립이 다시 격화될 조짐이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인사 검증 과정 전반을 문제 삼으며 공개 반대 의사를 피력해온 반면, 대통령실은 인사권자의 고유 권한을 거듭 강조했다. 정치권 내 일각에서는 “여론과 국회 협치에 대한 고육지책”이라는 분석도 뒤따랐다.
이번 결정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인사 전략은 일정 부분 유연성을 보였으나, 동시에 핵심 후보자에 대한 임명 강행 의지 역시 분명히 드러냈다. 여야는 향후 국회 인사청문회 절차와 각종 후속 법안 처리 과정에서 다시 한 번 정면 충돌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정치권은 이진숙 후보자 철회와 강선우 후보자 임명 여부를 두고 긴장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대통령실은 추가 인사 지명 및 정책 구상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