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안 통과 무산 위기”…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 의총 앞 분수령
국민의힘 혁신위원회와 당 지도부가 계엄·탄핵 사죄 명시 등 획기적 혁신안을 둘러싸고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혁신위가 출범 10여일 만에 좌초 위기라는 전망까지 나오는 가운데, 21일 국회 의원총회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국민의힘 혁신위원회는 이날 ▲ 당헌·당규에 계엄·탄핵 사죄 명시 ▲ 최고위원회 폐지 및 당 대표 권한 강화 ▲ 당원소환제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혁신안을 본격 논의한다. 혁신위가 지난 9일 출범한 이후 당내 갈등과 반발이 계속됐으나, 의원총회에서 해당 안건이 공식적으로 다뤄지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지난 13일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나경원·윤상현·장동혁 의원을 1차 인적 쇄신 대상으로 직접 언급하고, 당 대표 선출 방식 역시 국민 여론조사 100%로의 전환을 제안했다. 그러나 인적 쇄신안과 국민경선 방안은 혁신위 내부 이견 및 지도부와의 조율 미흡으로 의총 공식 안건에서 제외됐다.
당내에서는 혁신위가 내놓은 혁신안 전반에 대한 회의론이 확산되고 있다. 한 초선 의원은 20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혁신안에 대해 의원들 전체적으로 공감대가 안 생기고 있다"며 "의총이 성토의 장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전망했다. 그는 "혁신위를 만들어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려 했는데 오히려 국민 보기에 분열된 양상을 보여주니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지도부 역량과 권한 강화, 기존의 최고위원회 폐지 등 대대적 변화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다. 동시에 "자해행위"(나경원), "선거할 때만 쓰고 버리나"(장동혁) 등 당사자들의 반발도 거세다. 주요 인사 지목에 따른 갈등 표출은 혁신위 동력 약화로도 이어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8월 22일 전당대회 일정이 확정된 점에 주목한다. 당권 레이스가 본격화되면, 당내 관심이 차기 지도부 선출 경쟁에 쏠리면서 혁신위 논의의 실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실제 윤희숙 위원장 역시 "전당대회 일정이 공지된 것은 혁신위의 엔진을 사실 어느 정도 끈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2023년 인요한 혁신위가 중진 불출마·험지 출마 요구 등 쇄신안을 내놓았음에도 조기 해산된 전례가 이번에도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적지 않다. 내부 컨센서스 부재와 격화되는 계파 갈등이 혁신위 좌초 우려를 키우고 있다.
윤 위원장은 "의총의 결과를 예단할 필요는 없고, 이번 의총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 의미를 의원들이 잘 새기고 참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21일 의원총회에서 혁신위의 제안에 대한 의원들의 총의를 최종 확인할 예정이다. 혁신안이 부결될 경우, 혁신위의 명운도 불투명해질 전망이다. 정치권은 국민의힘 혁신안 논의가 향후 전당대회와 정계 개편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