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스테이블코인 시장 다변화”…리플, RLUSD 출시로 디지털 자산 공존 전략 강조
국제

“스테이블코인 시장 다변화”…리플, RLUSD 출시로 디지털 자산 공존 전략 강조

김서준 기자
입력

현지시각 20일, 미국(USA)의 디지털 자산 기업 리플(Ripple)이 신규 스테이블코인 RLUSD를 선보이며 암호화폐 시장의 구조 변화가 주목받고 있다. RLUSD의 출시는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경쟁 구도와 XRP, USDC 등 주요 코인의 기능적 차별성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업계 전문가들은 디지털 자산 시장 내 다양한 금융 수요에 대응하는 전략적 변화를 주목하고 있다.

 

현지 시각 기준 20일, 리플은 RLUSD 출시와 관련해 XRP 및 기존 스테이블코인과의 경쟁이 아닌 ‘역할 분담’에 방점을 찍었다. 암호화폐 인플루언서 존 디튼(John E. Deaton)은 XRP가 빠르고 효율적인 결제 전송에 특화된 반면, RLUSD와 서클(Circle)의 USDC는 달러 연동 고정가치에 집중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RLUSD와 XRP는 상호보완적 관계”라며 시장 내 오해를 바로잡는 데 힘을 실었다.

리플, RLUSD 스테이블코인 출시로 디지털 자산 전략 다변화… XRP와 USDC는 경쟁 아닌 공존
리플, RLUSD 스테이블코인 출시로 디지털 자산 전략 다변화… XRP와 USDC는 경쟁 아닌 공존

스테이블코인인 USDC는 미국 달러화 가치 연동을 통해 예측 가능한 금융 환경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고, RLUSD 또한 유사한 안정 실현을 목표로 한다. 반면 XRP는 기존부터 초고속·저비용 글로벌 결제 시스템에 사용돼 왔다는 점에서 기능적 차이가 명확하다. 각기 다른 금융 니즈에 대응하는 구조로, 암호화폐 생태계의 확장과 균형을 촉진하고 있다는 평가다.

 

일각에선 RLUSD의 등장이 스테이블코인 시장 내에서의 경쟁 심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그러나 디튼은 “세 자산 모두 고유한 기능과 시장 지대를 보인다”며 “혼동은 오히려 시장의 오해만 키울 수 있다”고 경고했다. 리플이 RLUSD의 도입과 함께 기존 XRP의 전송 기능 역시 유지·강화하는 전략도 재차 강조했다.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은 “스테이블코인 다변화 흐름이 암호자산 산업의 성숙도를 높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CNN은 “각 기축 자산이 상호작용하면서 디지털 금융 질서의 재편이 급물살을 탄다”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탈중앙화 금융(DeFi) 시장이 확장되면서 다양한 디지털 자산 간 ‘공존’ 전략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RLUSD·XRP·USDC 등 각 코인의 기능 구분과 역할 정착이 향후 암호화폐 산업 내 시장 질서 재편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제시한다. 리플의 전략 다변화는 단순 점유율 확보를 넘어서, 글로벌 금융 흐름 속 디지털 통화 선택지를 넓히는 계기로 풀이된다. 업계는 이번 RLUSD 출시에 따른 시장 내 협업과 공존 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이번 RLUSD 런칭은 경쟁이 아닌 보완, 공존의 키워드로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한 축을 형성하게 됐다. 앞으로 리플을 비롯한 주요 기업들의 복합 자산 전략이 글로벌 금융 질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국제사회는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리플#xrp#us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