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NRDO모델로 혁신 축적”…종근당, 신약개발사 아첼라 출범에 업계 주목

최동현 기자
입력

개발 중심 신약 기업이 제약 산업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종근당은 자회사 ‘아첼라(Archela Inc)’ 설립을 공식화하며, 국내외 신약개발 경쟁의 새로운 축을 세웠다. 아첼라는 신약 파이프라인 확보·임상개발·기술수출 등 NRDO(No Research Development Only) 모델을 채택,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전문화를 꾀한다. 업계는 선택과 집중 전환이 국내 신약개발 경쟁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종근당의 NRDO 방식 전담 자회사 설립은 기존 R&D(연구개발) 단계에서 병렬적으로 진행되던 사업 구조를, 개발 업무 중심의 분업 체계로 재편한 것이 특징이다. 신규 파이프라인 발굴, 임상 진행, 라이선스 아웃(기술수출), 상용화 업무가 아첼라로 이관되며, 모회사와의 시너지 역시 극대화될 전망이다.

기술적으로는 CETP(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저해제 ‘CKD-508’, GLP-1(Glucagon-like peptide-1) 작용제 ‘CKD-514’, 히스톤탈아세틸화효소6(HDAC6) 저해제 ‘CKD-513’ 등 핵심 파이프라인에 역량을 집중한다. CKD-508은 이상지질혈증을 겨냥한 신약 후보로, 영국 임상 1상서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인됐으며, 미국 FDA 임상 1상까지 승인받았다. CKD-514는 비만·당뇨 분야에서 혁신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는 경구용 GLP-1 신약이며, BBB(뇌혈관장벽) 투과가 가능한 CKD-513은 난치 신경질환 치료제로 각광받는다.

 

국내외 신약개발 무대에서 NRDO 전문 신설법인 설립은 최근 글로벌 제약사들의 전략적 구조 전환과 맞닿아 있다. 다국적 제약사 바이오엔텍, 화이자 등은 임상·개발 중심 자회사를 통해 R&D 리스크 분산과 신속한 사업화 체계를 정착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런 사례가 적었으나, 아첼라 출범으로 경쟁 지형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아첼라는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임상시험, 허가 전략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종근당의 신약사업이 아첼라에 집중되면, 기술수출과 글로벌 협업 성사 가능성도 커질 것으로 업계는 진단한다. NRDO 체계는 조기 상용화와 비용 효율화, 사업 리스크 최소화 측면에서 국내 제약사의 신성장모델로도 주목받는다.

 

또한, 국내 신약개발사의 글로벌 진출에 필수적인 미국 FDA, 유럽 EMA 등 각국 규제 대응 역량이 자회사 단위로 강화될 가능성도 있다. 당장 주요 파이프라인이 해외 임상 진입을 앞둔 만큼, 실제 성과가 국내 제약산업 전반에 미칠 파장도 클 것으로 보인다.

 

이주희 신임 대표는 삼성암연구소와 뉴욕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 등에서 연구 역량을 축적한 인물로, “핵심 파이프라인에 집중해 효율성과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극대화할 것”이라 밝혔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신약개발 모델의 전환점이자,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시사점이 크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이번 아첼라 출범이 실제 글로벌 시장 안착과 생태계 변화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 효율화와 제도·시장 구조 전환이 한국 제약업계 성장의 결정적 조건으로 자리 잡고 있다.

최동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종근당#아첼라#ckd-508